본문 바로가기

안전 정보

[소방정보] (소방시설) 옥내소화전 점검방법은? (2부) 옥내소화전 점검방법은? 소화전함 점검, 제어반 점검, 펌프실(기계실) 점검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화전함 점검 옥내소화전함이 층마다 설치되어 있는지, 수평거리 25m 이내인지, 방수구 설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인지 등을 확인한다.(소방호스는 소방대상물에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는 길이로 설치) / 소화전함 주변에 사용 시 방해가 될 수 있는 장애물이 비치되지 않는지 확인한다. / 사용을 위한 동선이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소화전 외관점검 소화전 외부에 “소화전” 이라고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위치표시등과 가압송수장치 기동표시등을 확인하고 색상과 상태를 점검한다. / 옥내소화전 사용요령이 소화전함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소화전함 내부점검 소화전함을 열어 .. 더보기
[소방정보] (소방시설) 옥내소화전은 무엇인가요? (1부) 옥내소화전이란? 옥내소화전은 건축물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불을 끌 수 있도록 설치하는 소화설비이다. 소화전 밸브를 열면 물이 나오며, 소화전까지 배관안에 항상 물이 들어 있는 자동작동방식과 소화전함의 수동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작동방식이 있으나 대부분의 설비는 자동작동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옥내소화전 사용방법은? 1. 옥내소화전 함의 문을 열고, 2. 결합된 호스와 관창을 화재지점 가까이 끌고 가서 늘어뜨린 다음 3. 소화전함에 설치된 밸브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틀면 물이 나온다 (단, 기동스위치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ON[적색] 스위치를 누른 후 밸브를 연다.) ※ 옥내소화전 사용시 주의사항 호스전개시 충분한 길이를 확보, 꼬임과 꺾임 방지 / 방수시 관창·호스연결된 카.. 더보기
[위험물정보] (제조소등) 주유취급소 점검방법(2부) ? 주유취급소 점검 방법은? 사전 준비물: 줄자, 누설검지장비, 접지저항측정장비, 전기테스터기 사전 준비사항: 위험물제조소등 완공검사합격확인증, 위험물도면 및 위험물시설 현황(준비 가능한 경우), 주유취급소 일반점검표[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별지 제16호서식)] 5. 배관밸브 등 점검내용 점검방법 점검요령 배관(플랜지·밸브 포함) → 도장상황·부식 및 누설의 유무 육안 · 배관의 부식 또는 도장면의 부풀음·벗겨짐·변색 등이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 · 배관에 현저한 부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초음파 두께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 · 도장면의 부풀음, 벗겨짐, 변색 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의 스케일 등을 제거하고 재도장 한다. · 배관 또는 밸브 등이 누설이 확인되는 경우 및 부식이 심한 경우.. 더보기
[위험물정보] (제조소등) 주유취급소 어떤 곳인가요(1부) ? [위험물정보] (제조소등) 주유취급소 어떤 곳인가요(1부) ? 휘발유나 경유 등의 각종 자동차 엔진용 연료를 판매하는 장소이다. LPG(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자동차를 위해서 LPG를 충전하는 곳은 LPG 충전소라고 하며, 보통 주유취급소와는 별도로 둔다.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곳도 역시 별도로 둔다. 보통 주유취급소하면 차량용 주유취급소(주유소)를 가리키지만, 모든 주유취급소가 자동차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보트 등을 위한 해상 주유취급소도 있으며, 항공기와 디젤 기관차, 디젤동차를 위한 주유취급소도 각 공항과 주요 역에 마련되어 있다. 주유취급소의 관계인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점검결과를 기록하여 보존하여야 하며, 정기점검을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점검결과를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 더보기
[소방정보] (소방시설)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는 무엇인가요?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란? 소화기, 자동확산소화기, 간이소화용구를 소화기구라고 말하며, 소화기는 용기안에 소화약제가 들어 있는 것을 사람이 직접 작동시켜 불을 끄는 기구다. 자동확산소화기는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 확산시켜 국소적(한 부분)으로 소화하는 기구다. 간이소화용구는 소화약제 외의 것을 이용한 소화용구를 말한다. 자동소화장치는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방사하는 고정된 소화장치로서 유효설치 범위이내에 설치하여 소화하는 장치이다. 화재의 종류에 따른 적용 소화약제 등 구분 A급 B급 C급 D급 K급 종류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금속화재 주방화재 가연물 목재, 종기, 섬유 등 유류(인화성액체 등) 전기기기, 배선 등 Mg분말, Al분말 등 동·식물유류 등 소화효과 냉각 질식 냉각, 질.. 더보기
[소방정보] 운동시설(골프장)은 어떤 시설인가요? 골프장이란? 야외 산간 지역 혹은 평지에 대규모로 지형과 식생을 조성하여 골프를 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스포츠 시설. 많은 수의 호수와 구릉, 언덕, 잔디, 편의 시설, 급수 장치, 골프 차량 등이 구비되어 있다. 보통 골프장의 명칭은 XX컨트리클럽(CC)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골프장업의 종류는 회원제 골프장업: 회원을 모집하여 경영하는 골프장업, 비회원제 골프장업: 회원을 모집하지 아니하고 경영하는 골프장업으로 구분된다. 비회원제 골프장업 중 이용료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골프장을 대중형 골프장으로 지정할 수 있다. 골프장 세부 종류는? 미니골프장: 실내에 십몇 피트 길이의 미니 그린을 설치하고 퍼팅을 즐길 수 있게 디자인한 골프장으로, 전장이 짧은(100m이내)의 파3홀로만 구성된 파3골프장도 미.. 더보기
[소방정보] 특정소방대상물 지하구는 무엇인가요? 지하구란? 전력ㆍ통신용의 전선이나 가스ㆍ냉난방용의 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수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하 인공구조물로서 사람이 점검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출입이 가능한 것 (화재사례) 2018. 11. 24. 발생한 KT아현지사 통신구 화재로 서울특별 시(중구, 용산구, 서대문구, 마포구 일대 대부분, 은평구, 종로구), 경기도 고양시 일부 지역에 통신장애가 발생하여 KT통신망을 사용하는 휴대전화,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IPTV 서비스가 전부 불통됨(통신장애는 복구는 1~2일, 완전 복구에는 일주일 소요) (안전대책) 기존에는 길이가 500m 이상인 전력 또는 통신사업용 지하구만 소방시설을 설치할 의무를 두었으나 KT 아현지사 화재(2018.11.24.) 관련 통신구는 길이가 112m로 지하.. 더보기
[소방정보] 화재예방법 시행(’22.12.1.)에 따라 달라지는 소방안전관리 제도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소방안전관리자란? 한국소방안전원에서 발급하는 소방청 공인 국가전문자격사이다. 각 자격으로 특급, 1급, 2급, 3급이 있으며, 각 자격별로 능력과 권한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관리 할 수 있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급수가 나뉜다. 참고로 특급을 취득한 자의 경우, 소방안전관리자 특급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를 할 수도 있지만 이 자격을 가지고 국가에 등록하면 총괄재난관리자라는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경직금지) 특급, 1급 대상은 소방안전관리자 겸직이 제한(공공기관 제외)된다. (교육·훈련) 특급, 1급 대상은 소방훈련·교육 실시하고 결과 30일 이내 소방서에 제출하여야 한다. (업무추가) 소방안전관리자 업무가 7대 업무 → 9대 업무로 증가 된다. ※ 추가항목 : ▲소방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