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정보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미분무소화설비 편 (episode22) [소방정보] 미분무소화설비란?"미분무소화설비"란 가압된 물이 헤드 통과 후 미세한 입자로 분무됨으로써 소화성능을 가지는 설비로서, 소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액 등을 첨가할 수 있다.미분무소화설비 설치대상미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중 가스시설 및 지하구는 제외)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1)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중 항공기 격납고2) 차고, 주차용 건축물 또는 철골 조립식 주차시설. 이 경우 연면적 800㎡ 이상인 것만 해당한다.3)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차고ㆍ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는 면적이 200㎡ 이상인 경우 해당 부분(50세대 미만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은 제외)4)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을 이용하여 20대 이상의 차.. 더보기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물분무소화설비 편 (episode21) [소방정보] 물분무소화설비란?"물분무소화설비"란 물을 고압으로 미세하게 분무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 설비이다. 물의 입자가 작아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며, 주로 전기 화재나 유류 화재 등 다양한 화재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민감한 전자 장비가 있는 공간이나 발전소, 전기실 등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물 입자가 작아 설비나 물건에 미치는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물분무소화설비 설치대상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중 가스시설 및 지하구는 제외)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1)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중 항공기 격납고2) 차고, 주차용 건축물 또는 철골 조립식 주차시설. 이 경우 연면적 800㎡ 이상인 것만 해당한다.3) 건축물의 내부.. 더보기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연소방지설비 편 (episode20) [소방정보] 연소방지설비란?연소방지설비는 전력, 통신용의 전선 등이 설치된 지하구의 화재발생 시에 지상의 송수구를 통하여 소방펌프차로 송수하며, 배관을 통해 개방형헤드(전용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로)로 방수되는 소방활동설비이다.연소방지설비 설치대상연소방지설비는 지하구(전력 또는 통신사업용인 것만 해당)에 설치해야 한다.30. 연소방지설비 점검표에 의한 자체점검소방시설 자체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 제5조 [별지 4]※ 점검항목 중 “●” 종합점검의 경우에만 해당함 → 점검항목 중 “○” 작동점검에 해당하며, 종합점검의 경우 작동점검을 포함한다.30-A. 배관번호점검항목30-A-001○· 급수배관 개폐밸브 적정(개폐표시형) 설치 및 관리상태 적합 여부↳ 급수배관(송수구로부터 연소방지설비 헤드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함)은.. 더보기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무선통신보조설비 편 (episode19) [소방정보] 무선통신보조설비란?무선통신보조설비는 소방관 등이 화재 및 인명구조 활동 시 사용하는 소화활동설비로, 건물 내부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증폭하거나 보강하는 장비와 설비를 의미한다. 이 설비는 주로 대형 건물, 지하 시설, 터널 등에서 무선 신호가 약해지거나 도달하지 않는 곳에 설치되며, 비상 상황에서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대상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중 가스시설은 제외)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1) 지하가(터널은 제외한다)로서 연면적 1천㎡ 이상인 것2)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천㎡ 이상인 것 또는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더보기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비상콘센트설비 편 (episode18) [소방정보] 비상콘센트설비란? "비상콘센트설비"란 화재 시 소화활동 등에 필요한 전원을 전용회선으로 공급하는 설비를 말한다.비상콘센트설비 설치대상비상콘센트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및 지하구는 제외)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1)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2)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28. 비상콘센트설비 점검표에 의한 자체점검소방시설 자체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 제5조 [별지 4] ※ 점검항목 중 “●” 종합점검의 경우에만 해당함 → 점검항목 중 “○” 작동점검에 해당하며, 종합점검의 경우 작동점.. 더보기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편 (episode17) [소방정보]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이란?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피난구조설비로 구분되며,"비상조명등"은 화재발생 등에 따른 정전 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거실 및 피난통로 등에 설치되어 자동 점등되는 조명등을 말하고, "휴대용비상조명등"은 화재발생 등으로 정전 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명등을 말한다.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대상 비상조명등을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창고시설 중 창고 및 하역장,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및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은 제외)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1) 지하층을 포함하는.. 더보기 옥내탱크저장소는 어떤 곳인가요?(점검방법)_[위험물정보] 위험물 옥내탱크저장소란?위험물 옥내탱크저장소는 건축물 내(옥내)에 위험물을 담는 탱크(용기)를 설치하여 위험물을 저장하는 시설을 말하며, 단층건물의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옥내탱크저장소와 단층건물 이외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옥내탱크저장소로 구분한다. 옥내탱크저장소의 시설분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탱크저장소는 단층건물에 설치된 탱크전용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옥내탱크저장소의 탱크전용실을 단층건물 이외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경우 저장할 수 있는 위험물은 한정된다.□ 단층건물 이외의 건축물에 옥내탱크저장소 전용실을 설치하는 경우 저장할 수 있는 위험물· 제2류 위험물 중 황화린·적린 및 덩어리 유황· 제3류 위험물 중 황린· 제4류 위험물 중 인화점 38℃· 제6류 위험물 중 질산옥내저장탱크의 설.. 더보기 소방시설등 자체점검 연결살수설비 편 (episode16) [소방정보] 소방시설등 자체점검이란?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그 대상물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시설등이 적합하게 설치ㆍ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일정기간 내에 스스로 점검하거나 점검능력 평가를 받은 소방시설관리업자 또는 소방기술자격자로 하여금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을 “자체점검” 이라 한다. 연결살수설비란?“연결살수설비”는 판매·운수시설 및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또는 지하층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연기가 충만하여 소화활동이 곤란한 특정소방대상물에 송수구 및 배관에 소방펌프 자동차로부터 물을 송수함으로써 살수헤드로부터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활동설비이다.연결살수설비 설치대상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지하구는 제외)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1) 판매시설, 운수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목록 더보기